본문 바로가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와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열린소통

제주개발공사 매출 사상 첫 1000억원 돌파

· 작성자 : 전략기획팀      ·작성일 : 2010-05-09 16:03:44      ·조회수 : 49,272     

 

제주개발공사 매출 사상 첫 1000억원 돌파
 
2009년 가결산 1206억원…2008년 보다 35.4% 증가
순이익도 37.7% 늘어…감귤·호접란은 적자로 부진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매출액이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했다.

삼다수사업이 도개발공사의 1000억원대 매출을 주도하면서 순이익도 200억원을 넘어섰다.

11일 도개발공사에 따르면 2009년 삼다수·감귤·호접란·기타사업을 가결산한 결과 매출액은 1206억3000만원으로 2008년 890억5600만원에 비해 315억4700만원(35.4%) 증가했다. 또, 순이익은 236억8600만원으로 작년 148억6000만원 보다 59.4% 늘었다.

사업별 매출액은 삼다수가 1079억2500만원으로 2008년 783억9100만원 보다 295억3400만원(37.7%) 증가했다. 감귤사업도 2008년 86억1700만원 보다 12.9% 증가한 97억3100만원의 매출을 올렸고, 호접란 매출액도 2008년 25억7800만원에서 2009년 25억7800만원으로 54.4% 증가했다.

이에 따라 삼다수 순이익도 2008년 164억1700만원에서 2009년 251억2000만원으로 53%(87억300만원) 늘었다.

감귤도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2008년 보다 적자폭이 감소했지만 호접란은 지난해 흑자에서 적자로 돌아섰다.

감귤 적자액은 12억6200만원으로 2008년 15억6200만원 보다 3억원(19.2%) 감소한 반면 2008년 5억원의 흑자를 보였던 호접란은 2009년 1억7200억원의 적자를 나타냈다.

도개발공사 관계자는 "삼다수는 증산에 따른 판매량 확대 및 물류혁신으로 생산비를 절감함으로써 매출액·순이익이 증가했고, 감귤은 적자폭을 줄였지만 음료업체 판매부진 및 가격하락 등으로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호접란은 미국 경기침체 등으로 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제민일보(2010년 02월 11일 (목) 16:19:53)
박훈석 기자

보도자료 게시물 목록을 게시물번호, 제목, 첨부파일 수,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로 나타낸 표입니다.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91 제주개발공사, KLPGA 투어 제주삼다수 마스터즈 개최.. 안선영 2014-06-23 39722
290 물산업연구센터, 제주권 건설교통기술 지역연구거점센.. 안선영 2014-06-16 39529
289 도개발공사, 한남리 1사1하천 정화활동 전개.. 안선영 2014-06-12 37329
288 제주삼다수봉사대, 지속적인 봉사활동 전개.. 안선영 2014-06-12 38557
287 제주삼다수봉사대, 제주태고원 봉사활동 전개.. 안선영 2014-06-12 35889
286 제주삼다수봉사대, 창암교육활동센터 봉사활동 전개.. 안선영 2014-06-12 38548
285 제주삼다수봉사대, 혜정원 아가의집 봉사활동 전개.. 안선영 2014-05-27 37326
284 제주삼다수, 여성이 뽑은 최고의 명품 대상 수상 .. 안선영 2014-05-27 39248
283 제주삼다수봉사대, 홍익보육원 봉사활동 전개.. 안선영 2014-05-27 38728
279 제주삼다수봉사대, 창암재활원 봉사활동 전개.. 안선영 2014-05-26 40210
278 제주삼다수봉사대, 성이시돌 요양원 봉사활동 전개.. 안선영 2014-05-26 44183
275 삼다수,글로벌브랜드역량지수 10년 연속 1위 .. 안선영 2014-05-15 45206
274 세월호 참사 유가족 돕기 성금 전달 안선영 2014-04-29 43245
271 도개발공사 사장,"2014 포브스 최고경영자 대상"수상.. 안선영 2014-04-29 40401
269 도개발공사-미국 브루클린사, 제주크래프트 맥주사업 .. 안선영 2014-04-29 40268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