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삼다수, 먹는샘물 업계에서 친환경 기준 제시할 것’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1-06-01 09:01:19 ·조회수 : 21,301
‘제주삼다수, 재생페트 제품 연구·개발로
먹는샘물 업계에서 친환경 기준 제시할 것’
환경부, 식약처 법령 개정 통해 국내에서도 친환경제품 생산 환경 열려
제주개발공사, 재생페트와 함께 바이오페트도 상품화 연구개발 한창
제주삼다수를 생산, 판매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김정학)는 환경부와 식약처의 폐플라스틱 식품용기 재활용 확대 추진에 맞춰 재생페트(R-PET) 시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제주개발공사는 재생페트를 활용한 제품 생산을 위한 연구개발과 시제품 생산, 품질안전 검증을 금년 내 마무리하고 관련 법령이 개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부터 관련 친환경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앞서 지난 달 28일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탄소 중립을 위한 순환 경제 이행 및 국제 추세에 따라 폐플라스틱 재활용 확대를 위해, 식품용으로 사용한 투명 페트병을 식품용기로 만들 수 있도록 인정기준을 마련하는데 합의했다.
향후 관련 법령 등이 개정되면, 음용 후 수거된 먹는샘물 페트병을 재생시켜 새제품으로 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미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등은 식품용으로 사용되고 물리적 재생을 거친 페트 등 원료는 식품용기로 재활용 하고 있다. 국내에서 시행된다면 앞으로 최소 10만 톤 이상의 재생 페트원료가 재탄생하게 될 것으로 기대 된다.
이에 제주개발공사는 환경부와 식약처의 친환경 행보에 발맞춰, 재생페트 제품 상용화를 추진한다.
금년 상반기까지 재생 페트 시제품 개발을 위한 원료 확보 및 설비 적용 테스트를 완성시킬 계획이며, 연내 FDA 기준 제품 품질 확보를 위한 안전성 검증 및 물리화학적 특성 검증 작업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지난 해 공사는 사내 친환경 TFT를 발족한 이래 전사적으로 그린 홀 프로세스(Green-Whole Process) 경영을 실행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플라스틱 사용량을 50% 절감하겠다는 단계별 로드맵에 따라 재생페트 관련 연구개발을 선제적으로 진행해왔다.
공사는 재생페트 뿐 아니라 바이오페트 개발 연구도 함께 진행 중이다. 바이오페트는 식물성 유래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페트 대비 이산화탄소를 약 30% 절감할 수 있는 소재로 100% 재활용 가능하다.
현재 유럽(EU) 지역 및 글로벌 기업에서는 자원순환 관점에서 재생원료의 사용 확대 등 지속가능경영이 핵심 의제로 대두된 상황이다.
이번 폐플라스틱 식품용기 재활용 정책이 마련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관련 개발과 제품 출시가 가능해져 산업을 리딩하고 있는 삼다수를 시작으로 업계에서도 관련 제품 개발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제주개발공사 김정학 사장은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서는 지구가 아니라 우리가 바뀌어야한다”며, “제주삼다수를 믿고 마시는 소비자에게도, 환경에게도 건강함을 선사하는 브랜드가 되기 위해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 밝혔다.
한편, 제주개발공사는 지난 1일 삼다수 무라벨 그린에디션 출시를 시작으로 ▲재생페트를 활용한 자원순환 제품 ▲바이오 페트 제품 ▲플라스틱 사용량을 더 줄인 경량화 제품 ▲생분해 포장 제품까지 향후 2개년 동안 출시 목표를 단계적으로 수립해 놓은 상황이다. 제주개발공사 품질연구본부 내에서 다양한 친환경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별첨 : 제주개발공사 품질연구팀 연구모습 및 삼다수 그린에디션(Green Edition) 이미지 컷
· 첨부 #1 : 제주개발공사 품질연구팀 연구 모습.jpg (802 KBytes)
· 첨부 #2 :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 제품컷.jpg (725 KBytes)
· 첨부 #3 :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 연출컷.jpg (638 KBytes)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1247 | 제주개발공사, 제50회 국가품질경영대회 국가품질상 3.. | 3 | 관리자 | 2024-11-21 | 4844 |
1246 | “오늘도 달린다~ 에코붕붕” | 3 | 관리자 | 2024-11-20 | 6221 |
1245 | 제주개발공사, ‘2024 ICQCC’ 국제대회서 4년 연속 .. | 2 | 관리자 | 2024-11-18 | 4817 |
1244 | 제주삼다수, 카페 삼다코지 ‘크리스마스 빌리지’ 오.. | 4 | 관리자 | 2024-11-12 | 6623 |
1243 | 제주개발공사, ‘제48회 국가생산성대상’ 국무총리표.. | 3 | 관리자 | 2024-11-08 | 4917 |
1242 | 제주삼다수, 베트남 현지 글로벌 마케팅 박차.. | 3 | 관리자 | 2024-10-30 | 5453 |
1241 | 제주개발공사, 4년 연속 인권경영시스템 인증 취득.. | 2 | 관리자 | 2024-10-14 | 4798 |
1240 | 주거약자 대상 환경개선 지속 노력! | 3 | 관리자 | 2024-10-11 | 5183 |
1239 | 제주삼다수재단, 제주도체육회 스포츠 꿈나무 장학사.. | 3 | 관리자 | 2024-10-10 | 5568 |
1238 | 제주삼다수, 고객 경험 팝업스토어 연다… ‘잔잔한 .. | 2 | 관리자 | 2024-10-10 | 3958 |
1237 |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제주개발공사의 사랑나눔 실.. | 2 | 관리자 | 2024-10-04 | 2216 |
1236 | 배드민턴으로 함께하는 기쁨, 나누는 사랑.. | 3 | 관리자 | 2024-09-26 | 3417 |
1235 | 제주개발공사, 제14회 제주물 세계포럼 내달 초 개최.. | 2 | 관리자 | 2024-09-23 | 2261 |
1233 | 제주개발공사, 제주형 공공분양주택 ‘사업추진 본 궤.. | 2 | 관리자 | 2024-09-20 | 2649 |
1232 | 제주개발공사,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건강관리 프로그.. | 3 | 관리자 | 2024-09-20 | 2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