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와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열린소통

‘해양쓰레기 업사이클 프로젝트‘ 제주 전역으로 확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1-11-16 11:11:01      ·조회수 : 17,486     

‘제주개발공사-제주지방해양경찰청-지역 수협‘

제주개발공사, ‘해양쓰레기 업사이클 프로젝트‘ 제주 전역으로 확대

 

모슬포∙성산포∙한림 수협과 페트병 회수 위한 다자 협약

기존 서귀포수협 협업에서 확대, 투명페트병 수거해 친환경 섬유로 새활용

 

 

제주개발공사가 제주의 청정한 바다를 지키기 위해 시작한 ‘해양쓰레기 업사이클 프로젝트’를 제주 전역으로 확대한다.

제주삼다수를 생산, 판매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김정학)는 ‘해양쓰레기 업사이클 프로젝트’의 확대 운영을 위해 제주 지역 수협 세 곳과 추가로 다자간 업무 협약을 맺었다.

협약식은 12일 오후 제주시 한림읍에 위치한 한림수협에서 제주개발공사와 모슬포수협(조합장 강정욱), 성산포수협(조합장 김계호), 한림수협(조합장 김시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제주개발공사의 ‘해양쓰레기 업사이클 프로젝트’는 수거사각지대에 놓인 제주도 근해에서 발생되는 해양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어선들을 대상으로 투명페트병을 회수하는 사업이다.

바다에서 조업 중 선원들이 마신 생수의 페트병 등을 바다에 버리지 않고 모아 수협에 제공하면 일정 금액을 비용으로 보상해준다. 적절한 보상을 통해 어민들의 폐자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수거된 페트병은 고품질 재생 섬유로 만들어 순환 경제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 사업은 2020년 8월부터 추자도 지역과 서귀포항 정박 어선을 대상으로 시작했으며, 재까지 8톤 이상의 투명 페트병을 수거해 고품질의 친환경 재생섬유로 만들어 패션 아이템에 쓰이고 있다. 바다로 유입되었다면 해양 오염의 주범이 되었을 페트병이 공동의 노력으로 새로운 가치를 갖는 상품이 된 것이다.

공사는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해양쓰레기 업사이클 프로젝트의 범위를 제주 전역으로 확대한다. 이번 다자 협약을 통해 투명페트병 수거, 보상 지역이 서귀포항 한 곳에서 한림항, 모슬포항, 성산포항 등 네 곳으로 늘어나 더 많은 어선의 참여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제주개발공사는 사업의 전체 기획 및 보상 금액을 마련하고, 각 수협과 제주해양경찰청은 더 많은 선주, 선원들이 깨끗한 바다를 만드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독려,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제주인 사회적협동조합이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을 주었고, 참여기관들의 자발적인 동참으로 ‘민관협력 수거체계를 구축’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정학 제주개발공사 사장은 “이번 사업은 바다에서 활동하는 어민들이 직접 해양 오염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고품질의 투명 페트병을 활용한 순환 경제 체계를 완성한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면서, “직면한 환경 문제를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해결하는 소셜 임팩트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업무협약식 이후 각 기관 임직원들은 한림 지역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는 정화활동을 진행했으며, 해양쓰레기 업사이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제주해양경찰청에서는 한림항 수중 정화활동도 전개했다.

사진. 12일 진행된 '해양쓰레기 업사이클 프로젝트' 업무협약식

사진. 한림항 방파제 해양수중정화활동(2)

사진. 한림항 방파제 해양수중정화활동(1)

· 첨부 #1 : 사진. 12일 진행된 '해양쓰레기 업사이클 프로젝트' 업무협약식.jpg (730 KBytes)

· 첨부 #2 : 사진. 한림항 방파제 해양수중정화활동(2).jpg (708 KBytes)

· 첨부 #3 : 사진. 한림항 방파제 해양수중정화활동(1).jpg (797 KBytes)


보도자료 게시물 목록을 게시물번호, 제목, 첨부파일 수,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로 나타낸 표입니다.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99 최첨단설비 장착 유연생산 시스템 본궤도.. 3 관리자 2021-06-03 21017
798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2021 제주도 품질분임조경.. 1 관리자 2021-06-01 19409
797 ‘제주삼다수, 먹는샘물 업계에서 친환경 기준 제시할.. 3 관리자 2021-06-01 21296
796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Green Edition)’ 출시.. 5 관리자 2021-05-31 23025
795 화순리 국민임대주택 20세대 입주자 모집.. 1 관리자 2021-05-26 19114
794 제주삼다수, 혜택 강화한 ‘제주삼다수 클럽’ 론칭.. 1 관리자 2021-05-12 20348
793 제주개발공사 행복주택 임대료 동결 1 관리자 2021-04-29 20693
791 제주개발공사, 광역 특정공사분야 고객만족도 1위.. 1 관리자 2021-04-26 20608
789 제주삼다수 친환경 무라벨제품 첫 공개.. 1 관리자 2021-04-20 24079
788 제주개발공사,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활성화로 사회.. 3 관리자 2021-04-19 21533
787 제주개발공사, ‘CEO와 함께하는 토크콘서트’ 운영.. 1 관리자 2021-04-19 22929
786 제주개발공사 웹진 '삼다소담' 리포터즈 발대.. 1 관리자 2021-04-16 20775
785 제주개발공사, '상호존중문화' 확산 나섰다.. 4 관리자 2021-04-12 19562
784 제주삼다수, 아이유와 함께한 ‘생명력’ 광고 캠페인.. 3 관리자 2021-04-01 23824
783 제주 해양쓰레기 감축 위해 힘 모은다 2 관리자 2021-03-25 21608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