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와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열린소통

제주삼다수, 한라산 해발 1450m 이상서 생성기원 입증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1-07-01 08:47:38      ·조회수 : 20,796     

제주삼다수, 4년여 연구 끝에

한라산 해발 1,450m 이상에서 생성 기원 과학적 입증

 

제주개발공사 수자원연구팀과 고려대 윤성택 교수, 연구 결과 발표

해발 1,450m 이상 인위적 손길이 닿지 않는 한라산국립공원 내 주함양고도

관련 연구 논문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논문집에 게재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김정학)는 제주삼다수의 생성 근원이 한라산국립공원 내 인위적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해발 1,450m 이상에서 시작되는 것을 과학적으로 밝혀냈다고 30일 발표했다.

제주개발공사 수자원연구팀은 지난 4년여 동안 장기간에 걸친 연구 조사를 진행한 끝에, 제주삼다수가 생성되는 고도는 1,450m 이상으로 삼다수 취수원(해발 440m) 보다 약 1,000m 높은 한라산국립공원 내 매우 높은 청정 자연에서 시작되는 것을 입증해냈다.

제주삼다수의 근원이 되는 지하수가 생성되는 함양고도를 밝혀냄으로써 청정한 수질을 보유하고 있는 이유에 대한 규명을 해낸 셈이다.

이번 연구는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주삼다수 유역의 지하수 함양 특성 연구'로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논문집(6월호)에 게재됐다.

제주개발공사에 따르면, 이 연구는 국내외 지하수 유동연구에 가장 신뢰받는 기법인 산소-수소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이용해 진행했다.

분석 결과 1,450m 이상의 고지대에서 내리는 빗물이 함양되어 제주삼다수 지하수의 근원으로 분석되었다. 제주삼다수의 주함양고도는 한라산국립공원 내 진달래밭대피소(해발 1,475m) 인근에 해당되며 인위적인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곳이다.

이번 연구는 제주개발공사 수자원연구팀 뿐만 아니라 연구의 객관적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외 지하수 분야 권위자로 알려진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윤성택 교수가 함께 참여했다.

고려대학교 윤성택 교수는 “이번 논문은 제주 삼다수의 기원과 함양지역을 명확히 밝혀 청정성을 증명한 우수한 과학적 성과”라며 “지하수 취수원을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하기 위한 연구에 함께 할 수 있어 의미가 있었다.”고 연구 소감을 밝혔다.

제주삼다수는 한라산 해발 1,450m 이상 지대에서 빗물에 의해 생성되어 천연필터인 화산송이층에 의해 약 18년 이상 걸러져 별도 정수 과정이 필요 없을 만큼 원수 자체가 깨끗하고 우수하다. 또한 18년 넘게 화산송이가 불순물을 걸러내는 동시에 부드럽고 건강에 좋은 미네랄이 약알칼리성 화상암반수에 스며들어 있다.

향후 제주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 지하수의 우수성과 관련해 보다 과학적 근거를 뒷받침하기 위해 함양고도로부터의 지하수 이동 및 대수층 형성과 수질 진화과정에 관한 추가 연구를 진행해 궁극적으로 지하수 생성모델을 정립할 방침이다.

김정학 사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삼다수가 천혜의 청정 자연에서부터 기인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됐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국민들이 안전하게 믿고 마실 수 있도록 수원지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함과 동시에 제주지하수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 밝혔다.

# 첨부 : 관련 사진 2매

사진1. 제주삼다수 함양고도 관련 이미지

사진2. 삼다수 그린에디션 이미지

 

사진1. 제주삼다수 함양고도 관련 이미지

사진2. 삼다수 그린에디션 이미지

· 첨부 #1 : 사진1. 제주삼다수 함양고도 관련 이미지.jpg (246 KBytes)

· 첨부 #2 : 사진2. 삼다수 그린에디션 이미지.jpg (563 KBytes)


보도자료 게시물 목록을 게시물번호, 제목, 첨부파일 수,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로 나타낸 표입니다.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77 제주개발공사, 제주형 新 공간복지 주거·사회서비스 .. 2 관리자 2025-02-03 1577
1276 제주삼다수재단, 2025 제주삼다수 장학생 170명 모집.. 2 관리자 2025-01-22 2600
1275 제주개발공사, 도내 주거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 다각.. 3 관리자 2025-01-21 1910
1274 제주지역 복지 사각지대 해소 민관협력 프로젝트 가동.. 2 관리자 2025-01-20 1574
1273 제주개발공사,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절약형·친환경.. 2 관리자 2025-01-20 1340
1272 제주삼다수, 전 품종 용기 경량화 성공.. 1 관리자 2025-01-16 1744
1271 제주삼다수, 8년 연속 세계가 인정한 물맛.. 2 관리자 2025-01-14 2010
1270 제주개발공사 노사, 혈액원과 ‘생명나눔 헌혈 협약’.. 3 관리자 2025-01-10 1514
1269 제주개발공사, 올해 1,366억원 투입해 공공개발사업 .. 2 관리자 2025-01-09 2591
1268 2025학년도 탐라영재관·탐라하우스 입주학생 243명 모.. 2 관리자 2025-01-07 2054
1267 제5회 제주삼다수 해피플러스 공모사업 성과공유회 성.. 3 관리자 2024-12-24 2019
1266 “산타는 선물을 싣고~ 삼다수는 사랑을 싣고~”.. 5 관리자 2024-12-19 2379
1265 제주개발공사, 전국 최고점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 선.. 2 관리자 2024-12-18 1541
1264 제주삼다수, 생수 업계 최초 ‘대한민국브랜드대상’.. 4 관리자 2024-12-16 1984
1263 제주개발공사,‘2024 반부패·인권 주간 페스티벌’개.. 5 관리자 2024-12-16 1518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