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와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열린소통

제주개발공사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로 탄소배출량 70톤 감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1-12-16 09:19:44      ·조회수 : 16,291     

‘15년된 소나무 2만3600그루 효과’

제주개발공사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로 탄소배출량 70톤 감축”

 

지난 2년 간 도내 16개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서 투명 페트병 118만 개 수거

높아진 자원순환 인식 바탕으로 무색 페트병 전용 수거기 도입, 운영 지역 재배치

 

친환경 브랜드로 거듭나고 있는 제주삼다수가 제주에서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 운영을 통해 탄소 배출량 70톤을 줄이는데 성공했다.

제주삼다수를 생산, 판매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김정학)는 ‘그린 홀 프로세스’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 운영 성과를 종합해 발표했다.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는 캔과 페트병을 기기에 넣으면 자동 분리해서 기존 부피의 10분의 1까지 줄여 재활용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용객들은 캔이나 페트를 넣은 만큼 포인트가 적립되며, 적립된 포인트가 2000점을 넘기면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사려니숲길을 비롯해 유동인구가 많은 관광지, 마트, 학교 등에 총 16대를 운영하고 있다.

공사에 따르면 지난 2년 간 자동수거보상기에서 수거한 투명 페트병은 118만 개에 달하며, 이를 리젠 제주(regen®jeju, 제주에서 수거한 페트병을 재활용한 의류용 섬유) 등으로 업사이클링해 감축시킨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70톤에 해당한다. 이는 15년생 소나무 2만3600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과 맞먹는다.

나아가 폴리에스터 섬유를 친환경 재생 원사인 ‘리젠 제주(regen®jeju)’로 대체함으로써 석유 사용을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최대 50% 줄이는 효과도 거두고 있다.

최근 1년(2020.9~2021.9) 간 배출된 자원만해도 109만 개로 전년 동기 대비 7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85%는 지역주민 등 유동인구가 집중되는 제주시 하나로마트 두 곳(노형점, 제주점)으로,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에 대한 지역 주민의 인식과 참여가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

제주개발공사는 올해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3차년도 사업을 이어간다. 보상기는 무색 페트병 전용으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운영 지역도 달라진 여행 트렌드를 반영해 한라산, 동문시장 등으로 재배치할 계획이다. 음료 음용이 잦은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캠페인도 추진한다.

김정학 제주개발공사 사장은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쓰레기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친환경 생활을 확산시켜 나가기 위해 시작한 친환경 자원순환 사업이 지역주민들의 높은 참여 덕분에 예상을 뛰어 넘는 성과를 냈다”면서, “3년차에 접어든 만큼 사업의 실효성을 높여 도민과 제주를 찾는 여행객들에게 자원순환의 가치를 알리고 자발적인 재활용 문화를 만들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개발공사는 친환경 사회공헌사업에 대한 도민참여 감사의 의미로 오는 20일부터 31일까지 온라인 SNS 및 한라산 성판악(23일)과 제주시동문시장 청년몰(24일~25일)에서 '해피 크리마스 캠페인'을 진행하고, 캠페인 목표인원 달성시 지역내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에게 2000만원 규모의 성탄 선물꾸러미를 전달할 예정이다.

 

 

사진. 페트병 자동수거 보상기 사용 모습

사진.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 이미지

· 첨부 #1 : 사진. 페트병 자동수거 보상기 사용 모습.jpg (845 KBytes)

· 첨부 #2 : 사진.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 이미지.jpg (717 KBytes)


보도자료 게시물 목록을 게시물번호, 제목, 첨부파일 수,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로 나타낸 표입니다.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15 제주삼다수,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 공식 후원.. 1 관리자 2022-04-28 14725
914 제주개발공사, 인천도시공사 감사 업무협약 체결.. 1 관리자 2022-04-27 14827
913 제주개발공사, 취약계층 식사지원 사업 전개.. 2 관리자 2022-04-21 14480
912 제주개발공사, 성산읍 광치기 해변 일대에서 환경정화.. 3 관리자 2022-04-21 14053
911 제주삼다수, 롯데관광개발(주)과 함께 ‘친환경 자원.. 2 관리자 2022-04-21 14724
910 제주개발공사, 작년에 이어 올해도 행복주택 임대료 .. 1 관리자 2022-04-05 14628
909 김부겸 국무총리, 제주삼다수공장 방문.. 2 관리자 2022-04-05 14887
908 제주개발공사, 고위직 대상 청렴교육 실시.. 3 관리자 2022-03-30 17598
907 제주개발공사, 지방공기업 고객만족도 2년 연속 1위.. 2 관리자 2022-03-24 15277
906 제주삼다수, 키자니아서 어린이 대상 친환경 캠페인 .. 4 관리자 2022-03-23 14323
905 제주개발공사 삼다수공장 안전선포식 개최.. 3 관리자 2022-03-21 15759
904 제주개발공사, 행복주택 ‘마음에온 건입’ 준공.. 5 관리자 2022-03-17 16250
903 제주삼다수, SNS통해 ‘착한 순환 캠페인’ 참가자 모.. 1 관리자 2022-03-16 16068
902 제주삼다수, 출시 24주년 맞아 ‘월드클래스 품질 비.. 4 관리자 2022-03-15 16339
901 제주개발공사, 공공임대주택 건설현장 안전점검.. 2 관리자 2022-03-10 14376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