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와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열린소통

리사이클 페트 사용 ‘제주삼다수 리본(RE:Born)’ 쿠팡서 한정 판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2-09-05 08:55:10      ·조회수 : 10,462     

리사이클 페트 사용 ‘제주삼다수 리본(RE:Born)’ 쿠팡서 한정 판매

- 지난해 10월 제주개발공사에서 업계 최초 개발한 친환경 제품 상용화
- 자원순환의 날(9/6) 맞아 쿠팡 단독 론칭, 경품 증정 행사 및 할인 이벤트 진행
- 김정학 사장 “’제주삼다수 리본’ 판매 확대를 통해 ESG경영 실천해 나갈 것”


제주삼다수를 생산, 판매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김정학)와 유통사 광동제약(대표이사 최성원)은 자원순환의 날인 6일부터 리사이클 페트(CR-PET)를 적용한 ‘제주삼다수 리본(RE:Born)’ 약 78만 병을 쿠팡 단독으로 한정 판매한다.

양사는 친환경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을 통해 플라스틱 자원순환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가치 소비를 독려하고자 자원순환의 날에 맞춰 제품 출시를 결정했다. ‘제주삼다수 리본’의 첫 상용화인만큼 친환경 이커머스를 실천하고 있는 쿠팡과 손을 잡았다고 설명했다.

제주삼다수가 지난해 10월 업계 최초로 개발한 ‘제주삼다수 리본’은 SK케미칼의 화학적 재활용 페트인 ‘스카이펫(SKYPET) CR’을 사용한 리사이클 페트(CR-PET)이다. CR-PET는 페트병을 다시 페트병으로 사용하는 보틀 투 보틀(Bottle to Bottle) 형태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한국형(K)-순환경제’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친환경 소재다.

특히 반복적으로 재활용해도 식품 접촉 용기로서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어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품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제주삼다수 리본’은 환경부와 미국 식품의약국(FDA) 수질 및 용출 기준 적합 여부를 국내외 공인기관에 분석 의뢰한 테스트에서도 관리기준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인정받았다. 제주개발공사는 2월부터 시제품을 생산해 플라스틱 자원순환을 실현함으로써, 국내 리사이클 페트 인식 개선에 앞장서 왔다.

제주개발공사와 광동제약은 ‘제주삼다수 리본’ 출시 및 자원순환의 날 홍보를 위해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

우선 자원순환의 날인 6일 하루 동안 쿠팡에서 제주삼다수를 10% 할인 판매하는 ‘골드박스’ 행사를 진행한다. 1일부터 15일까지는 쿠팡 내 이벤트페이지를 통해 제주삼다수를 구매한 고객 중 70명을 추첨해 ▲프라이탁 마이애미 바이스 가방(3명) ▲플리츠마마 숄더백(7명) ▲제주삼다수 친환경 피크닉 세트(10명) ▲해녀복으로 만든 태왁 고래 풍경(20명) ▲천연 감귤 세정제 세트(30명) 등 푸짐한 경품 행사도 진행한다.

제주개발공사 김정학 사장은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리사이클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주삼다수 리본’의 한정 판매를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무라벨 제품인 ‘삼다수 그린’과 리사이클 페트를 사용한 ‘삼다수 리본’의 확대를 통해 ESG경영을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광동제약 관계자는 “가정배송 전용 어플인 ‘제주삼다수 앱’에서도 무라벨 제품 주문이 상승 추세”라며 “페트병 회수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친환경 활동도 함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개발공사는 친환경 경영 비전인 '그린 홀 프로세스'(Green Whole Process)에 따라 ▲친환경 제품 생산 ▲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 ▲신재생 에너지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별첨 : 제주삼다수 리본(RE:Born) 이미지
 

사진1. 제주삼다수 리본(RE Born) 이미지

사진2. 쿠팡 내 삼다수 이벤트페이지

· 첨부 #1 : 사진1. 제주삼다수 리본(RE Born) 이미지.JPG (672 KBytes)

· 첨부 #2 : 사진2. 쿠팡 내 삼다수 이벤트페이지.jpg (376 KBytes)


보도자료 게시물 목록을 게시물번호, 제목, 첨부파일 수,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로 나타낸 표입니다.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47 “삼다수와 함께하는 AGAIN 2002” 3 관리자 2022-06-20 14336
946 제주개발공사, ‘스마트워크’ 사내 학습조직 운영.. 1 관리자 2022-06-16 13245
945 제주개발공사, 2023년도 주민참여예산 사업 공모.. 1 관리자 2022-06-16 12550
944 제주개발공사 첫 ‘백서’ 발간, 국내 먹는 샘물 산업.. 2 관리자 2022-06-16 12645
943 제주삼다수, 기후 위기 극복 위해 민관 협력 나선다.. 2 관리자 2022-06-13 14437
942 제주삼다수, ‘제5회 옥스팜 트레일워커’ 대회 공식 .. 2 관리자 2022-06-13 12240
941 2022 제주삼다수 해피투게더 행복밥차 봉사활동.. 4 관리자 2022-06-13 12183
940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사옥 건립 건축설계 공모.. 1 관리자 2022-06-13 12322
939 세계가 인정한 맛있는 물’ 제주삼다수, 5년 연속 국.. 1 관리자 2022-06-08 12465
938 제주개발공사-제주시건강복지센터, ‘마음채움’ 업무.. 1 관리자 2022-06-08 13309
937 제주삼다수,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갱신으로 글로벌 .. 1 관리자 2022-06-08 14434
936 제주삼다수, 세계 환경의 날 기념 친환경 자원순환 활.. 4 관리자 2022-06-08 12549
935 주제주 중국 총영사관, 제주삼다수 공장 방문.. 2 관리자 2022-06-08 13033
933 제주개발공사, 「도민 주거복지 4대권리 실현」을 위.. 3 관리자 2022-06-02 12722
932 제주삼다수, 토스카나 호텔과 함께 ‘친환경 자원순환.. 1 관리자 2022-06-02 15013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