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적용 제주삼다수 생산 체계 구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2-02-07 08:59:21 ·조회수 : 18,065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적용 제주삼다수 생산 체계 구축’
‘제주삼다수 RE:Born’ 생산으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추진
- 제주개발공사,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한 ‘제주삼다수 RE:Born (가칭) ’ 생산 체계 구축
- 국내 최초 제주삼다수 화학적 재활용 페트 시제품 개발 이후 국내∙미 FDA 식품접촉소재 기준 충족
- SK 케미칼 협력해 원료 공급 및 품질 안정성 확보, 키자니아 삼다수 체험관서 먼저 선보일 예정
페트병 내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가 예고된 가운데, 이르면 연내 지속적인 재활용이 가능한 재생 페트병에 담긴 제주삼다수를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제주삼다수를 생산, 판매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김정학)가 상업용으로 적합한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를 적용한 ‘제주삼다수 RE:Born ( 가칭) ’의 생산 체계를 구축해 2만여 병을 생산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는 수거한 투명 페트병을 화학반응으로 분해해 회수된 원료로 만들어진 페트(PET)다. 반복적으로 재활용해도 식품 접촉 용기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어, 페트병을 다시 페트병으로 사용하는 보틀 투 보틀(Bottle to Bottle) 형태로 플라스틱 자원 순환 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으로 손꼽힌다.
현재 식품위생법 *상 식품 용기로 사용할 수 있어 원료의 대량 공급 체계가 갖춰지는 대로 상품화가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 식품위생법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
제주 삼다수는 지난해 10월 국내 최초로 화학적 재활용 페트( CR-PET ) 적용 제품인 ‘제주삼다수 RE:Born(가칭)’ 을 개발, 친환경 생수병 라인업 구축을 완료했다. 이후국내 환경부 및 미국 식품의약국(FDA) 수질기준 및 용기 용출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에 대해 국내외 공인기관에 분석 의뢰 하였다 그 결과 관리기준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최종 합격판정을 받았다.
‘제주삼다수 RE:Born ( 가칭) ’ 제품의 페트는 SK 케미칼의 ‘스카이펫(SKYPET)-CR’을 30% 사용했으며, 양사가 공동개발했다. 향후 공동 연구를 통해 재생 원료의 비중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제주개발공사는 앞으로 ‘제주삼다수 RE:Born ( 가칭) ’을 활용해 어린이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 내 삼다수 체험관에서 어린이들의 친환경 교육 및 홍보를 할 예정이다.
김정학 제주개발공사 사장은 “불확실성이 높아진 현재, 지속가능성이 경영의 기준이 되고 있으며, ‘환경 경영’은 지속가능성의 핵심축이자 기업의 필수 과제”라면서, “원료 공급 및 생산의 안정화를 거치는 대로 상용화해 친환경 라이프를 지향하는 고객들께 선보이고, ‘한국형(K)-순환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개발공사는 친환경 경영 비전인 ‘그린 홀 프로세스(Green Whole Process)’에 따라 ▲친환경 제품 생산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 6월 무라벨 제품인 ‘제주삼다수 그린’을 시작으로 물리적 재활용 페트
(MR- PET ), 화학적 재활용 페트( CR-PET ), 바이오페트(Bio-PET) 등 소재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친환경 소재 개발과 동시에 페트병의 무게를 줄이는 경량화 연구를 통해 2030년까지 플라스틱 사용량을 50% 줄인다는 방침이다.
# 사진 자료: 제주삼다수 RE:Born 제품 이미지
· 첨부 #1 : 사진1. 화학적 재활용 페트 적용 '제주삼다수 RE-Born' 제품컷.JPG (672 KBytes)
· 첨부 #2 : 사진2. 화학적 재활용 페트 적용 '제주삼다수 RE-Born' 제품컷.JPG (5 MBytes)
· 첨부 #3 : 사진3. 화학적 재활용 페트 적용 '제주삼다수 RE-Born' 생산이미지.jpg (1 MBytes)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947 | “삼다수와 함께하는 AGAIN 2002” | 3 | 관리자 | 2022-06-20 | 14361 |
946 | 제주개발공사, ‘스마트워크’ 사내 학습조직 운영.. | 1 | 관리자 | 2022-06-16 | 13269 |
945 | 제주개발공사, 2023년도 주민참여예산 사업 공모.. | 1 | 관리자 | 2022-06-16 | 12581 |
944 | 제주개발공사 첫 ‘백서’ 발간, 국내 먹는 샘물 산업.. | 2 | 관리자 | 2022-06-16 | 12676 |
943 | 제주삼다수, 기후 위기 극복 위해 민관 협력 나선다.. | 2 | 관리자 | 2022-06-13 | 14470 |
942 | 제주삼다수, ‘제5회 옥스팜 트레일워커’ 대회 공식 .. | 2 | 관리자 | 2022-06-13 | 12247 |
941 | 2022 제주삼다수 해피투게더 행복밥차 봉사활동.. | 4 | 관리자 | 2022-06-13 | 12212 |
940 |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사옥 건립 건축설계 공모.. | 1 | 관리자 | 2022-06-13 | 12342 |
939 | 세계가 인정한 맛있는 물’ 제주삼다수, 5년 연속 국.. | 1 | 관리자 | 2022-06-08 | 12496 |
938 | 제주개발공사-제주시건강복지센터, ‘마음채움’ 업무.. | 1 | 관리자 | 2022-06-08 | 13339 |
937 | 제주삼다수,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갱신으로 글로벌 .. | 1 | 관리자 | 2022-06-08 | 14463 |
936 | 제주삼다수, 세계 환경의 날 기념 친환경 자원순환 활.. | 4 | 관리자 | 2022-06-08 | 12577 |
935 | 주제주 중국 총영사관, 제주삼다수 공장 방문.. | 2 | 관리자 | 2022-06-08 | 13065 |
933 | 제주개발공사, 「도민 주거복지 4대권리 실현」을 위.. | 3 | 관리자 | 2022-06-02 | 12751 |
932 | 제주삼다수, 토스카나 호텔과 함께 ‘친환경 자원순환.. | 1 | 관리자 | 2022-06-02 | 15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