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와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열린소통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Green Edition)’ 출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1-05-31 09:41:58      ·조회수 : 18,126     

무라벨·무색캡·무색병… 역시 제주삼다수는 삼무(3無)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Green Edition)’ 출시

 

- 음용 후 그대로 순환할 수 있도록 3無 적용... 재활용 최우수등급 획득

- 사각 형태의 병 디자인, 제품명·수원지 양각 적용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 점자 표준 규격 준수한 제품명 점자 표기해 정보 제공 사각지대 제거

- 연내 1억 병 생산해 비닐 폐기물 64톤 감축 효과 기대

 

제주삼다수를 생산, 판매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김정학)는 제주의 자연을 넘어 지구 환경을 지키고자 하는 제주삼다수의 노력을 담은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을 선보인다고 31일 밝혔다.

제주삼다수는 우리나라가 개최하는 첫 환경 분야 다자 정상회의인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그린에디션을 첫 공개했다.

제주삼다수는 2017년부터 페트병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페트병을 단일 재질의 무색병으로 전환하고, 캡(뚜껑)은 친환경 합성수지(HDPE)를 사용하고 있다. 자원순환성을 강화하기 위해 법적 의무가 아닌 캡에도 색을 입히지 않아 친환경 의미를 더욱 높였다.

여기에 라벨까지 없앤 그린에디션을 통해 음용 후 그대로 순환시킬 수 있는 3無(무라벨·무색캡·무색병) 시스템을 완성했다. 그 결과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 2종(500mL, 2L)은 최근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재활용 최우수등급을 받았다.

디자인은 사각 형태의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고 한라산, 화산암반 등 브랜드 자산을 형상화해 적용함으로써 타 제품과 차별화되는 제주삼다수의 고유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제주삼다수 상품명과 수원지를 양각으로 디자인해 소비자들이 제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했고, 정보 제공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상품명은 표준 규격 점자로도 표기했다. 그 외 세부 수원지, 미네랄 함량 등 자세한 정보는 묶음용 포장에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은 500mL와 2L 두 종류이며 각각 20개입, 6개입 묶음 단위로 삼다수앱(제주삼다수 클럽)을 통해 판매한다. 연내 1억병을 생산해 약 64톤의 비닐 폐기물을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정학 제주개발공사 사장은 “공사의 목표는 청정한 제주에서 얻은 지하수를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소비자에게 자연 그대로 생생히 제공하는 것”으로, “앞으로도 근본적이고 진정성 있는 자원순환 활동을 통해 친환경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제주삼다수가 되겠다”고 전했다.

 

 

 

별첨: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Green Edition) 제품컷 및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공개된 그린에디션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 제품컷_1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 제품컷_2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 연출컷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공개된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_1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공개된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_2

· 첨부 #1 :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 제품컷_1.jpg (562 KBytes)

· 첨부 #2 :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 제품컷_2.jpg (546 KBytes)

· 첨부 #3 :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 연출컷.jpg (638 KBytes)

· 첨부 #4 :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공개된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_1.JPG (802 KBytes)

· 첨부 #5 :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공개된 '제주삼다수 그린에디션'_2.JPG (943 KBytes)


보도자료 게시물 목록을 게시물번호, 제목, 첨부파일 수,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로 나타낸 표입니다.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46 제주개발공사, ‘스마트워크’ 사내 학습조직 운영.. 1 관리자 2022-06-16 9374
945 제주개발공사, 2023년도 주민참여예산 사업 공모.. 1 관리자 2022-06-16 9087
944 제주개발공사 첫 ‘백서’ 발간, 국내 먹는 샘물 산업.. 2 관리자 2022-06-16 8825
943 제주삼다수, 기후 위기 극복 위해 민관 협력 나선다.. 2 관리자 2022-06-13 9483
942 제주삼다수, ‘제5회 옥스팜 트레일워커’ 대회 공식 .. 2 관리자 2022-06-13 9324
941 2022 제주삼다수 해피투게더 행복밥차 봉사활동.. 4 관리자 2022-06-13 9036
940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사옥 건립 건축설계 공모.. 1 관리자 2022-06-13 8886
939 세계가 인정한 맛있는 물’ 제주삼다수, 5년 연속 국.. 1 관리자 2022-06-08 9006
938 제주개발공사-제주시건강복지센터, ‘마음채움’ 업무.. 1 관리자 2022-06-08 9611
937 제주삼다수,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갱신으로 글로벌 .. 1 관리자 2022-06-08 10232
936 제주삼다수, 세계 환경의 날 기념 친환경 자원순환 활.. 4 관리자 2022-06-08 8690
935 주제주 중국 총영사관, 제주삼다수 공장 방문.. 2 관리자 2022-06-08 9061
933 제주개발공사, 「도민 주거복지 4대권리 실현」을 위.. 3 관리자 2022-06-02 8998
932 제주삼다수, 토스카나 호텔과 함께 ‘친환경 자원순환.. 1 관리자 2022-06-02 9860
931 ‘2022년 제주특별자치도 품질분임조경진대회’ 제주.. 3 관리자 2022-06-02 9609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