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ju samda soo

KOR
ENG CHN

주메뉴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리적 위치

제주특별자치도는 한반도의 남해상에 위치한 화산도로서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보면 남서쪽으로 치우쳐져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북쪽으로 목포까지의 거리가 149㎞, 북동쪽으로 부산과의 거리는 302㎞이며 서울과는 469㎞ 떨어져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주변해역은 북쪽 한반도 남해안과 사이에 제주해협을 포함하는 남해가 있고, 남쪽으로는 동중국해가 있는데 제주특별자치도가 남해와 동중국해의 경계가 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도를 거꾸로 해서 보면 한반도의 작은 섬인 제주특별자치도가 태평양을 향하는 우리나라의 전진기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주변에 위치한 한국, 중국, 일본의 중앙부에 제주특별자치도가 위치하고 있어 예로부터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곳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동경 126도08분 ~ 126도58분, 북위 33도06분 ~ 34도00분에 속한다. 제주특별자치도의 남단은 마라도로서 마라도는 우리나라의 최남단에 해당되며, 서단은 한경면 차귀도, 동단은 우도 연평리의 비양등대, 북단은 추자도의 시루여이다. 2004년 통계에 의하면 제주특별자치도의 총면적은 1,848.2㎢로 전국의 1.86%에 지나지 않으며 419.95㎞의 해안선과 8개의 유인도, 55개의 무인도를 포함하고 있다.

전국지도 : 제주도는 서울로부터 469km떨어져있으며, 부산으로부터는 302km떨어져있다.

제주도의 지질

제주도는 동북동 방향으로 길쭉한 타원의 모양을 가지며, 신생대 후기(약 200만 또는 180만년)부터 역사시대까지 발생한 화산분출에 의해 형성되었다(원종관, 1976; 박기화 외, 2000a). 섬의 중앙에는 해발 1,950m의 한라산이 솟아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 그리고 인을 지닌 368개의 오름(volcanic cones)들이 섬의 곳곳에 분포한다. 제주도 전역에서 이루어진 시추자료에 따르면 제주도의 지하에는 최하부에 기반암이 분포하고, 그 상부에 U층과 서귀포층 그리고 용암류가 피복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세계자연유산 제주

제주 세계자연유산인『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2007년 6월 27일 제 31차 세계유산위원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로써 제주도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세계자연유산이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2001년부터 국내 자연유산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시키고자 노력해 왔으며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시킴으로써 6년 만에 그 결실을 맺었다.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은 3개의 유산지구로 구성된 상호 밀접한 연속유산이다.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매우 뛰어난 특징들과 다른 두 개의 유산지역에서 보이는 다양하고 접근 용이한 화산 특징들이 세계화산학 연구에 특유하고 중요한 기여함을 증명한다.

세계자연유산 제주 홈페이지 +

용천수의 정의

대수층을 따라 흐르는 지하수가 암석이나 지층의 틈을 통해 지표면으로 자연스럽게 솟아나는 지점을 용천이라고 하고, 이 물을 용천수라 한다.


백록샘 – 서귀포시 서홍동 소재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 제주의 물⋅용천수)

용천수의 분류

용출지점의 틈의 크기에 의한 분류 누수 및 침투용천 대수층에 발달된 여러지점으로부터 지하수가 용출되는 용출되는 용천으로서 용출량이 비교적 소량이어서 누수용천이라고 부른다.
균열용천 비교적 큰 암석의 절리나 파쇄대의 틈을 따라 지하수가 유출되는 용천으로서 큰 파쇄대를 통해서 지하수가 유출되는 경우를 파쇄대 용천이라 한다.
공동용천 화산암이나 석회암 분포지역에서 용암터널과 용해공동과 같이 큰 공간을 통해 지하수가 유출되는 경우를 공동용천이라 한다.

지구중력에 의한 분류 함몰형 용천 지하수면이 지형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지점에 노출됨으로서 지하수가 지표로 유출되는 용천을 말하는데, 분지형 용천이라고도 한다.
접촉형 용천 지하수가 누수성이 불량한 지층 상부를 따라 흐르다 지표면과 연결된 지층의 틈을 따라 용출하는 용천을 말한다.
피압용천 대수층 상부에 피복되어 있는 피압층(구속층)에 생긴 공간이나 틈을 따라 압력을 받고 있던 지하수가 지표로 용출하는 용천을 말한다.
불투수성 지층 용천 불투수성 지층 용천불투수성 지층의 파쇄대 또는 관 모양의 수로를 따라 지하수가 용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관상 또는 파쇄대형 용천 용암관 또는 용해수로, 불투수성 지층에 발달한 파쇄대와 대수층이 연결되어 있어 지하수가 지표로 용출하는 용천을 말한다.

제주 용천수의 특성

분포현황

제주도내 용천수는 총 1,023개소가 분포하며, 제주시 613개소, 서귀포시 410개소임. 대부분 해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분포하고, 중산간 지역과 고지대에 일부 분포한다.


용천수 분포현황
(※ 출처 : 제주의 물⋅용천수)

이용현황

제주도내 용천수는 상수도가 제대로 보급되지 않았던 1980년대 이전까지 식수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생활 및 농업용수로 이용되어온 제주인의 생명수이자 젖줄이었다.
2013~2014년 제주특별자치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제주도내 용천수 1,023개소 중 이용중 373개소(36%), 미이용 449개소(44%), 멸실/매립 376개소(37%)로 과반수 이상이 미이용중이거나 멸실되었다. 이용 중인 용천수 383개소 중 상수원 32개소, 상수원/생활용 5개소, 상수원/생활용/농업용 1개소, 생활용 134개소, 생활용/농업용 6개소, 농업용 20개소이었다.


빨래터로 이용 중인 녹남물 사진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내부자료)

제주의 힘 한라산

우리나라 3대 영산(靈山)중의 하나인 한라산은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 1,950m로 남한에서 가장 높다. 또 다양한 식생 분포를 이뤄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고 동·식물의 보고(寶庫)로서, 1966년 10월 12일 천연기념물 제182호인 한라산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신생대 제4기의 젊은 화산섬인 한라산은 지금으로부터 2만5천년 전까지 화산분화 활동을 하였으며, 한라산 주변에는 360여 개의 ‘오름’들이 분포되어 있어 특이한 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섬 중앙에 우뚝 솟은 한라산의 웅장한 자태는 자애로우면서도 강인한 기상을 가슴에 품고 있는 듯하다. 철 따라 어김없이 바뀌는 형형색색(形形色色)의 자연경관은 찾는 이로 하여금 절로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명산으로, 1970년 3월 24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2년 12월에는 ‘UNESCO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특히 태고의 신비를 그대로 간직한 한라산과 아름다운 땅 제주는 신이 우리에게 선물한 최고의 보물이자 세계인이 함께 가꾸어야 할 소중한 유산으로 인정받아 2007년 6월 27일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우리나라 최초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삼다수의 고향 교래삼다수마을

맑고 신선한 공기와 삼다수로도 유명한 교래마을에는 300여 주민이 정겹게 살고 있으며, 저마다 독특한 별미를 자랑하는 토종음식점들이 있어 마을을 찾는 내방객 들에게 또다른 기쁨을 주고있으며, 민박으로도 유명한 한라산 첫동네 입니다.
해발 420고지에 자리하고 있어, 매서운 겨울바람속에, 쌓인 눈을 뚫고 피어나는 황금빛 복수초를 볼 수 있는 산굼부리를 비롯하여, 광활한 야산 초지에 넘실대는 은백색의 억새꽃과 햇살 가득 머금은 드넓은 초원에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는 우마(牛馬)들의 모습에서 더없이 즐거운 평화로움을 느낄 수 있는 마을입니다.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